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 & PM/테스트(QA,디버깅)

[ QA/디버깅 ] 테스트를 위한 더미 파일(dummy file) 생성 팁 - (1)

by IM조이 2023. 5. 2.

테스트를 위해 다양한 종류/용량의 더미 파일이 필요할 때,
cmd 창에서 원하는 확장자, 원하는 크기의 파일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cmd 창을 연다
2. 더미 파일을 생성하려는 폴더로 이동한다
3. 명령어를 입력해 더미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 바탕화면에 file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 file 폴더에서 type이라는 하위 폴더를 만든 후
- type 폴더 안에 더미파일을 여러개 생성하고자 한다면

(1)  > cd desktop  : 바탕화면으로 이동
(2)  > cd file : 바탕화면의 file 폴더로 이동
(3)  > cd type : file 폴더 내부의 type 폴더로 이동
(4)  > fsutil file createnew 파일명.확장자명 바이트수 : 지정한 바이트수 크기의 파일을 생성
(단, 입력한 파일명과 확장자명으로 파일이 생성)
Q. '가나다라' 라는 이름을 가진, 1메가바이트 크기의, 한글 파일을 생성할 때의 명령어는?
A. fsutil file createnew 가나다라.hwp 1048576 
이때, 원하는 용량이 바이트로 얼마인지 계산하기 귀찮은데 이때 도움이 되는 사이트
: http://mwultong.blogspot.com/2008/01/kb-mb-gb-tb-pb-convert.html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테라바이트 계산기: KB MB GB TB PB 환산 Convert

컴퓨터에서 디스크, 메모리, 파일 등의 용량을 표현할 때에는: 바이트(Byte), 킬로바이트(KB),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 페타바이트(PB) 단위를 사용합니다. 그 단위들을 상호

mwultong.blogspot.com

 

엑셀을 활용해서 다양한 확장자의 더미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에...

댓글